영어 교육을 하기 위해 교수자는 어떤 내용을 어떻게 가르칠지 계획합니다. 가르칠 내용을 순서를 정해 설계하는 것을 교수요목(syllabus)이라 하며 그 내용을 가르치는 방법을 고민하여 교수법이 정해집니다. 영어 교수법은 시대의 흐름에 따라 학자들에 의해 발전적으로 생겨났습니다. 오늘은 그 중에서 전통적 교수법이라 할 수 있는 GTM, DM, ALM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GTM / DM / ALM
문법 번역 교수법(GTM)
Grammar-Translating Method, 줄여서 GTM은 주로 이전 시대에 사용되던 교수법입니다. 이름 그대로 문법의 규칙과 어휘의 암기, 번역 등에 관심이 있는 교수법입니다.
- 문자 언어(읽기 + 쓰기) 중심의 교육. 듣기와 말하기는 배제함
- 모국어로 수업이 진행됨
- 주된 수업 내용: 문법 규칙 익히기, 번역
- 연역적(deductive)으로 수업 진행 -> 문법 규칙을 먼저 익힌 후 사례들에 적용함
- 정확성(accuracy) 강조
- 탈맥락화(decontextualized)된 상황으로 학습 진행 -> 학습시 관련 규칙을 연습하기 위함이 목적. 내용, 맥락의 연관성은 고려하지 않음
GTM은 언어 지식 획득과 영어로 글을 읽는 것이 목적이고, 음성 언어를 거의 지도하지 않기 때문에 의사소통 능력의 향상에는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교수 방법 자체가 딱딱하기 때문에 학습에 흥미를 잃을 수 있는 것도 단점으로 꼽을 수 있습니다. 현대 영어 교육에서는 지양하고 있는 방식입니다.
직접 교수법(DM)
Direct Method는 GTM에 대한 반발로 나온 교수법입니다. 음성 언어의 사용을 강조하며, 모국어가 아닌 영어로 직접 가르친다는 것에서 이름이 지어졌습니다. 이 교수법의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 음성 언어(듣기 + 말하기) 중심의 교육. 영어로 의사소통 하는 것이 목표
- 문법 규칙 학습과 번역은 하지 말아야 하는 것
- 영어로만 수업하기 때문에 학생 입장에서 많은 Input이 제공됨
- 영어로만 수업할 수 있는 유창한 교사가 많지 않음
- 모국어를 사용할 수 없어서 학습자가 모르는 단어를 가르치기 힘들 때가 많음
- 따라서 실물(realia), 그림 등을 자주 활용함
- 주로 교사와 학생 사이의 질문과 대답으로 수업이 진행됨
- 발음과 문법의 정확성이 강조됨
- 문법은 귀납적(inductive)으로 학습됨 -> 의사소통 속에서 원리 깨달아 일반화
청화식 교수법(ALM)
Audiolingual Method의 목적은 올바른 언어 습관 형성(habit formation)입니다. 행동주의에 영향을 받은 교수법으로 다음과 같은 행동 양식을 띕니다.
stimulus -> response -> reinforcement / negative reinforcement
제2 언어를 제시함으로 자극을 주고 학습자는 그에 대해 반응합니다. 교수자는 학생의 반응에 즉각적으로 강화 및 피드백을 제공합니다. 학생이 올바른 대답을 했다면 칭찬 등을 통해 긍정적 강화를 주고 틀린 반응에 대해서는 즉시 수정해줍니다. 이를 통해 학생의 오류를 줄이고 정확성(accuracy)을 높이고자 합니다.
배경
청화식 교수법은 구조주의 언어학(Structural linguistics)에 영향을 받았습니다. 한국어나 영어 등의 언어는 작은 단위인 음소가 모여 형태소를 이루고, 그것들이 단어를 이루며 문장, 문단, 글과 같이 확장되는 구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그 연결 형식에는 어떠한 패턴(pattern)이 존재한다고 말합니다. 여기서 이 교수법에서 강조하는 패턴 반복 연습(pattern drill)이 나옵니다. 패턴 반복 연습을 통해 올바른 습관 형성을 이루고자 하였죠.
언어 공부를 할 때, L2(제2 언어)와 L1(모국어) 사이에는 전이(transfer)가 일어납니다. 즉 L2 학습 과정에서 L1이 개입하게 된다는 것입니다. 그 과정에서 도움을 줄 때는 긍정적 전이(positive transfer)가 일어났다고 하고 오히려 오류를 만들게 될 때는 간섭(interference)이 일어났다고 합니다. 청화식 교수법에서는 대조 분석(Contrastive analysis)를 통해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고 합니다. 미리 L1과 L2 사이의 관계를 분석하여 구조 중심 교수요목(structural syllabus)를 계획합니다. 관련 문법 요소는 하나씩만 제시되며 난이도 별로 쉬운 쪽에서 어려운 쪽으로 학습 내용을 순차 나열합니다.
수업 절차
- 구조 중심 교수요목에 따라, 학생은 해당 수업에 배울 핵심 구문이 들어간 대화문(model dialogue)을 듣습니다.
- 학습자는 대화문의 각 문장을 따라합니다. 개인별로, 전체로 진행되며 대화문은 점차 줄별로 외워지게 됩니다.
- 대화문에 들어간 패턴을 통해 반복 및 암기 학습 후 핵심 구문을 체득하게 됩니다.
특징
- 유창성(fluency) < 정확성(accuracy)
- 의미(meaning) < 형태(form)
- 대화문(dialogue)의 패턴(pattern)을 이용한 반복 연습(drill)
- 수업 중 학생의 오류가 나타나면 교사는 즉각적으로 수정
- 되도록 목표어로 수업 진행
- 문법 학습 따로 하지 않음. 정확한 것을 듣고 따라하는 과정에서 ‘습관 형성’으로 배움
- 따라서 귀납 및 추론의 방식으로 문법이나 단어를 학습하며, 대화문에서 맥락화(contextualization)
- 수업 자료는 대부분 대화문 형태이며, 문법 구조는 대조 분석의 결과로 학습 순서가 정해짐
- 정확한 언어 사용으로 원어민과 같은 실력을 갖추는 것을 목표로 함
- 그러나 기계적인 반복 연습이 실제적 의사소통 상황에서 유창성으로 전이(transfer)되지 못함
- 학습자가 반복 및 암기 학습에 흥미를 못 느낌
반복 연습(Drill) 종류
최소 대립쌍 연습(minimal pair drill)
하나의 분절음만 다른 단어들을 통해 발음 연습을 시키는 방법입니다. 이 때 글자수와 나머지 분절음은 같아야 합니다. rat, fat, cat, bat 등을 묶어서 -at의 발음을 배우는 것이 예입니다.
대치 연습(substitution drill)
교사가 모델이 될 수 있는 예시 문장을 주면 학생은 단어만 바꿔서 그 문장을 연습합니다. 아래와 같은 형식이며, 변동되는 부분도 교사가 제시한 단어(cue)로 답합니다.
T: I played piano yesterday.
T: Violin.
S1: I played violin yesterday.
T: ______.
S2: I played ______ yesterday.
역방향 연습(backward build-up drill)
공부하는 문장의 길이가 길 때 그것을 나누어 뒷부분부터 부분적으로 학습하는 방식입니다.
가령 ‘How did you know about the plan?’이라는 문장을 배울 때, the plan -> know about the plan -> How did you know about the plan? 순서로 배울 수 있습니다.
체인 연습(chain drill)
대화를 이어나가며 연습하는 방법입니다.
T: I live in Seoul. How about you?
S1: I live in Busan. How about you?
S2: I live in Jeju. How about you?
S3: …
오늘 배운 세 가지 교수법은 예전에 많이 사용되던 형식입니다. 현대 영어 교육에서 추구하는 형태는 아니죠. 그리고 GTM, DM, ALM은 공통적으로 ‘approach’가 아닌 ‘method’에 속합니다. 즉 언어 학습이 어떻게 이루어져야 하는지 대략적인 방향성과 관점만 제시한 게 아닌 구체적인 절차와 행동양식까지 기술했습니다. 다르게 말하면 정해진 학습 절차와 양식이 정해져 있어서 유동적으로 바꾸기 힘들다는 한계가 있는 방식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