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 단어는 의미/기능/형태에 따라 9가지, 5가지, 2가지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가변어/불변어로 분류하는 방법을 제외하고 간단히 5언 9품사라고 하는데요. 처음 접하는 사람에게는 다소 가짓수가 많고 포함 관계나 개념이 복잡하게 다가올 수 있습니다. 따라서 체계적인 이해를 위해 표를 통해 각각의 포함 관계와 의미, 예시까지 총정리 해보겠습니다.
국어의 품사
분류 기준 | 형태 변화 | 기능 | 의미 |
단어 | 불변어 | 체언 | 명사 |
대명사 | |||
수사 | |||
수식언 | 관형사 | ||
부사 | |||
관계언 | 조사 | ||
독립언 | 감탄사 | ||
가변어 | 용언 | 동사 | |
형용사 |
국어의 9품사(의미에 따른 분류)
품사 | 예시 | |
명사 | 사람이나 사물의 이름을 나타내는 말 | · 고유 명사(제주도) · 보통 명사(섬) · 의존 명사(것/줄/수/대로) · 단위 명사(권/장/마리) |
대명사 | 대상의 이름을 대신해서 나타내는 말 | · 인칭 대명사(나/너/그녀/그들) · 지시 대명사(이것/저것/여기/저기) |
수사 | 사물의 수량(양수사)이나 순서(서수사)를 나타내는 말 | · 양수사(하나/둘/일/이) · 서수사(첫째/둘째) |
관형사 | 체언 앞에서 주로 체언을 꾸며주는 말 | · 성상 관형사: 명사의 성질이나 상태를 꾸며줌(새/헌/옛/온갖) · 지시 관형사: 어떤 대상을 가리킴(이/무슨/어떤/어느) · 수 관형사: 수량이나 순서를 나타냄(여러 명/한 걸음/모든 것) |
부사 | 주로 용언을 꾸며주는 말(용언, 부사, 문장 전체도 꾸밈.) | · 성분 부사: 용언이나 부사를 꾸며 주는 부사 · 문장 부사: 문장 전체를 꾸며 주는 부사(분명히/의외로) · 접속 부사(접속어): 앞말과 뒷말, 앞 문장과 뒷 문장을 이어 주는 말(그러나/그리고/또는) |
조사 | 앞말에 붙어 다른 말과의 관계를 나타내거나 앞말의 뜻을 더해주는 말 | <격조사> · 주격: 이/가/꼐서/에서 · 목적격: 을/를 · 관형격: 의 · 보격: 이/가 · 부사격: 에/에서/에게/께 · 호격: 야/아/이여 · 서술격: 이다 <접속 조사> · 와/과/랑/하고 <보조사> · 은/는/만/마는/도 |
감탄사 | 부름, 느낌, 대답 등을 나타내는 데 쓰이면서 독립성을 가지는 말 | · 대답(응, 아니, 네, 예, 그래) · 감정(이야) · 부름 |
동사 | 동작을 나타내는 말 | · 걷다 |
형용사 | 성질이나 상태를 나타내는 말 | · 피곤하다 |
국어의 5언(기능에 따른 분류)
5언 | 9품사 | 뜻 |
체언 | 명사 | 문장에서 주체의 기능을 하는 말 |
대명사 | ||
수사 | ||
수식언 | 관형사 | 다른 말을 꾸미는 역할을 하는 말 |
부사 | ||
관계언 | 조사 | 문장에 쓰인 단어들의 관계를 나타내는 기능을 하는 조사를 이르는 말 |
독립언 | 감탄사 | 독립적으로 쓰이는 감탄사를 이르는 말 |
용언 | 동사 | 문장에서 서술어의 기능을 하는 말 |
형용사 |
형태에 따른 분류
형태에 따른 분류는 비교적 간단합니다. 가변어와 불변어로 나뉘는데요. 뜻은 다음과 같습니다.
가변어: 단어의 모양이 변함
불변어: 단어의 모양이 변하지 않음.
가변어에는 용언, 즉 동사와 형용사가 해당됩니다. 예를 들어 ‘먹다’라는 동사는 ‘먹어’, ‘먹으니’, ‘먹고’ 등으로 형태가 변합니다. 형용사인 ‘아름답다’ 또한 ‘아름다워’, ‘아름답게’ 등으로 그 형태가 변하기도 하죠.
불변어는 용언을 제외한 모두가 해당됩니다. ‘제주도’라는 말은 항상 ‘제주도’로 사용되고 그 형태가 변형될 수 없기에 불변어입니다.
오늘은 한국어 단어의 분류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특히 5언 9품사의 구성요소를 이해한다면 국어 문법 체계를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위의 정리 표는 각 개념의 포함 관계와 간단한 설명 정도만 있습니다. 깊은 이해가 필요한 분은 각각의 하위 개념을 개별적으로 공부해 보세요.